인터넷 로딩속도 빠르게 하기
다음과 같이 레지스트리 설정을 바꿔주시면 인터넷 로딩속도가 눈에 확 뜨일 만큼 놀랍게 향상됩니다.
좀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 듯해서 오자는 정정하고 좀 더 쉽게 써보았습니다. 저도 컴맹 겨우 면한 수준입니다만, 저같은 사람도 할 수 있을 만큼 쉽습니다.^^;
먼저 이 설정을 바꿈으로 해서 속도가 빨라지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. 선진국이라고는 해도 미국이나 유럽 등 외국의 인터넷 통신선로 사정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훨씬 열악한 편입니다.
다른 것은 몰라도 인터넷 통신 사정 만큼은 우리나라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거든요. IT 강국 국민의 자부심을 가지셔 좋습니다. ^^
어쨌든 그런 이유로 윈도우즈 OS 프로그램을 만들어 출시할 때에는 만든 나라인 미국 등 외국의 선로사정의 수준에 맞추어서 인터넷 통신의 레지스트리 설정을 하여 놓았기 때문에, 그것을 그대로 우리나라에서 맞추어 놓고 쓰게 되면, 우리로서는 좋은 성능의 선로를 놓고도 그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... 크게 손해보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. 따라서 이 팁은 우리나라의 인터넷 사정에 맞추어서 레지스트리를 조절하여 서버와 사용자간의 커넥션의 수를 늘려줌으로써 단위 시간당 다운로딩 속도를 높여 주자는 것입니다.
그러니까 더 쉽게 말하자면, 예를 들어 윈도우즈를 처음 깔았을 경우에 원래 Default(기본) 값으로는 서버에서 1초당 1:1로 커넥션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면, 10초동안 '10'이라는 양의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그 커넥션을 5:5로 재 설정하여 놓는다면,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2초면 받을 수 있게 되지요. 바로 그러한 원리로 레지스트리의 수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서버와 사용자 간의 커넥션의 수를 늘려주는 겁니다. 그렇다면 이론상으로는 그 수를 무진장 크게 늘리면 무진장 빨라져야 할 것 같지요? 그런데 우리나라의 통신 사정도 한계는 있는 법이기 때문에 그처럼 무한대로 좋아지지는 않는답니다. 게다가 두 개 이상의 커넥션을 허용해 놓지 않은 서버의 경우 로딩 속도는 차이가 없게 되지요.
제가 실험을 해 본 결과 아래에 100이라고 쓴 것을 20으로 바꾸어 보았을 때에도 수치상으로는 약간만 속도가 떨어지더군요. 그러나 역시 100이 더 좋았습니다.
아래의 결과들은 제가 두루넷 홈피에 있는 로딩 속도 측정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수치상으로 표시되는 결과를 가지고 직접 몇 번씩 시뮬레이션을 해 가면서 실험을 거쳐서 찾아낸 데이터로서 안심하시고 사용하셔도 좋은 수치입니다.
*일러두기
아래의 각 항목 옆에 있는 '/' 표시는 '더블클릭' 하라는 뜻입니다. 그 표시를 더블클릭하시면, 그 하부 디렉토리들이 나타나는데, '/'표시의 오른편에 표시된 항목을 찾아서 또 더블 클릭 하시면, 또 그 하부 디렉토리가 뜨고, 그러면 그 다음 항목을 더블 클릭 하시고....이런 식으로 찾아 내려가시면 됩니다.
1) DNS캐쉬수정으로 브라우저속도 높이기 (이 항목은 XP 사용자에게만 해당됩니다. 98이나 기타 프로그램 사용자의 경우는 아래의 2)번 항목만 실행하셔도 성능이 아주 좋아집니다.^^ )
'시작' 버튼을 누른 후 '실행'을 누릅니다. 그 후에 그곳에 'regedit'이라고 쓰시고서 '확인'을 누르시고 나면 창이 하나 뜨지요. 그곳의 왼쪽 창에서.....
HKEY_LOCAL_MACHINE/Sytem/CurrentControlset/Services/Dnscache/Parameters에서
다음항목의 값을 입력합니다.
(혹시 이 값이 없으면 새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새로만들기를 하는데, 마우스 오른 쪽 단추 클릭 후, '새로만들기'가 뜨면, 그 위를 클릭하시면 메뉴가 열리게 되고, 메뉴가 열리면 네번째 'DWORD값'을 누르십시오. 그러면 '새값#1'이라고 반전된 이름 써넣기 항목이 뜹니다. 그곳에 아래에 포기된 이름들을 복사해 붙이시고 난 후, 그 위를 다시 오른쪽 클릭하시면 새 메뉴가 뜹니다 거기에서 제일 위에 '수정'을 누르시면 메뉴가 뜨지요. 그 메뉴에서 오른쪽에 있는 단위를 10진수로 선택하신 후, 좌측의 '값 데이터'를 100 으로 써 넣은 후 '확인'을 누릅니다. 그러면 레지스트리 우측 화면 새로 바꾼 항목 끝의 괄호 속에 변하여진 숫자가 나타날 것입니다. 이하 모든 항목의 숫자 변환 방법은 다 마찬가지입니다.)
CachehHashTableBucketSize---->1
CachehHashTableSize---------->384
MaxCacheEntryTtlLimit-------->64000
MaxSOACacheEntryTtlLimit----->301
2)HKEY_USERS/Default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InternetSettings에서 새로만들기
-->DWORD값을 다음과 같이 만든다(값은 10진수로 선택한다)
MaxConnectionsPerServer------>100
MaxConnectionsPer1_0Server--->100
HKEY_CURRENT_USER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InternetSettings에서도 위와 같이
값을 만든다
MaxConnectionsPerServer------>100
MaxConnectionsPer1_0Server--->100
3) HKEY_LOCAL_MACHINE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Explorer/
RemoteComputer/ NameSpace에서 {D6277990-4C6A-11CF-8D87-00AA0060F5BF} 폴더 자체를 삭제
이 항목의 경우는 XP 사용자만 해당될 듯 싶습니다. 98에는 이 폴더가 없는 것 같더군요.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이건 손대지 않으셔도 좋습니다. 스피드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위의 2)번 항입니다.
자, 위와같이 설정해 주시면 아마도 눈부시게 빨라진 로딩 속도에 감탄하시게 될 것입니다. ^^
다음과 같이 레지스트리 설정을 바꿔주시면 인터넷 로딩속도가 눈에 확 뜨일 만큼 놀랍게 향상됩니다.
좀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 듯해서 오자는 정정하고 좀 더 쉽게 써보았습니다. 저도 컴맹 겨우 면한 수준입니다만, 저같은 사람도 할 수 있을 만큼 쉽습니다.^^;
먼저 이 설정을 바꿈으로 해서 속도가 빨라지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. 선진국이라고는 해도 미국이나 유럽 등 외국의 인터넷 통신선로 사정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훨씬 열악한 편입니다.
다른 것은 몰라도 인터넷 통신 사정 만큼은 우리나라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거든요. IT 강국 국민의 자부심을 가지셔 좋습니다. ^^
어쨌든 그런 이유로 윈도우즈 OS 프로그램을 만들어 출시할 때에는 만든 나라인 미국 등 외국의 선로사정의 수준에 맞추어서 인터넷 통신의 레지스트리 설정을 하여 놓았기 때문에, 그것을 그대로 우리나라에서 맞추어 놓고 쓰게 되면, 우리로서는 좋은 성능의 선로를 놓고도 그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... 크게 손해보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. 따라서 이 팁은 우리나라의 인터넷 사정에 맞추어서 레지스트리를 조절하여 서버와 사용자간의 커넥션의 수를 늘려줌으로써 단위 시간당 다운로딩 속도를 높여 주자는 것입니다.
그러니까 더 쉽게 말하자면, 예를 들어 윈도우즈를 처음 깔았을 경우에 원래 Default(기본) 값으로는 서버에서 1초당 1:1로 커넥션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면, 10초동안 '10'이라는 양의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그 커넥션을 5:5로 재 설정하여 놓는다면,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2초면 받을 수 있게 되지요. 바로 그러한 원리로 레지스트리의 수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서버와 사용자 간의 커넥션의 수를 늘려주는 겁니다. 그렇다면 이론상으로는 그 수를 무진장 크게 늘리면 무진장 빨라져야 할 것 같지요? 그런데 우리나라의 통신 사정도 한계는 있는 법이기 때문에 그처럼 무한대로 좋아지지는 않는답니다. 게다가 두 개 이상의 커넥션을 허용해 놓지 않은 서버의 경우 로딩 속도는 차이가 없게 되지요.
제가 실험을 해 본 결과 아래에 100이라고 쓴 것을 20으로 바꾸어 보았을 때에도 수치상으로는 약간만 속도가 떨어지더군요. 그러나 역시 100이 더 좋았습니다.
아래의 결과들은 제가 두루넷 홈피에 있는 로딩 속도 측정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수치상으로 표시되는 결과를 가지고 직접 몇 번씩 시뮬레이션을 해 가면서 실험을 거쳐서 찾아낸 데이터로서 안심하시고 사용하셔도 좋은 수치입니다.
*일러두기
아래의 각 항목 옆에 있는 '/' 표시는 '더블클릭' 하라는 뜻입니다. 그 표시를 더블클릭하시면, 그 하부 디렉토리들이 나타나는데, '/'표시의 오른편에 표시된 항목을 찾아서 또 더블 클릭 하시면, 또 그 하부 디렉토리가 뜨고, 그러면 그 다음 항목을 더블 클릭 하시고....이런 식으로 찾아 내려가시면 됩니다.
1) DNS캐쉬수정으로 브라우저속도 높이기 (이 항목은 XP 사용자에게만 해당됩니다. 98이나 기타 프로그램 사용자의 경우는 아래의 2)번 항목만 실행하셔도 성능이 아주 좋아집니다.^^ )
'시작' 버튼을 누른 후 '실행'을 누릅니다. 그 후에 그곳에 'regedit'이라고 쓰시고서 '확인'을 누르시고 나면 창이 하나 뜨지요. 그곳의 왼쪽 창에서.....
HKEY_LOCAL_MACHINE/Sytem/CurrentControlset/Services/Dnscache/Parameters에서
다음항목의 값을 입력합니다.
(혹시 이 값이 없으면 새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새로만들기를 하는데, 마우스 오른 쪽 단추 클릭 후, '새로만들기'가 뜨면, 그 위를 클릭하시면 메뉴가 열리게 되고, 메뉴가 열리면 네번째 'DWORD값'을 누르십시오. 그러면 '새값#1'이라고 반전된 이름 써넣기 항목이 뜹니다. 그곳에 아래에 포기된 이름들을 복사해 붙이시고 난 후, 그 위를 다시 오른쪽 클릭하시면 새 메뉴가 뜹니다 거기에서 제일 위에 '수정'을 누르시면 메뉴가 뜨지요. 그 메뉴에서 오른쪽에 있는 단위를 10진수로 선택하신 후, 좌측의 '값 데이터'를 100 으로 써 넣은 후 '확인'을 누릅니다. 그러면 레지스트리 우측 화면 새로 바꾼 항목 끝의 괄호 속에 변하여진 숫자가 나타날 것입니다. 이하 모든 항목의 숫자 변환 방법은 다 마찬가지입니다.)
CachehHashTableBucketSize---->1
CachehHashTableSize---------->384
MaxCacheEntryTtlLimit-------->64000
MaxSOACacheEntryTtlLimit----->301
2)HKEY_USERS/Default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InternetSettings에서 새로만들기
-->DWORD값을 다음과 같이 만든다(값은 10진수로 선택한다)
MaxConnectionsPerServer------>100
MaxConnectionsPer1_0Server--->100
HKEY_CURRENT_USER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InternetSettings에서도 위와 같이
값을 만든다
MaxConnectionsPerServer------>100
MaxConnectionsPer1_0Server--->100
3) HKEY_LOCAL_MACHINE/SOFTWARE/Microsoft/Windows/CurrentVersion/Explorer/
RemoteComputer/ NameSpace에서 {D6277990-4C6A-11CF-8D87-00AA0060F5BF} 폴더 자체를 삭제
이 항목의 경우는 XP 사용자만 해당될 듯 싶습니다. 98에는 이 폴더가 없는 것 같더군요.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이건 손대지 않으셔도 좋습니다. 스피드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위의 2)번 항입니다.
자, 위와같이 설정해 주시면 아마도 눈부시게 빨라진 로딩 속도에 감탄하시게 될 것입니다. ^^
'IT-Consulta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샘플 소스 괜잖은것들 (0) | 2008.10.09 |
---|---|
검색서버 튜닝보다 내 PC 튜닝이 더 효과적일때가 있다. (0) | 2008.10.08 |
검색결과 액셀파일로 뿌리기 (0) | 2008.10.08 |
검색결과 액셀파일로 뿌리기 (0) | 2008.10.08 |
K2 검색엔진에서 Connection Pool을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(0) | 2008.10.06 |